/usr/share/fonts/truetype/ttf-asian-default/mshei.ttf
요 글꼴이 문제였던 것입니다. "아시안 디폴트" 이거 폴더 이름이 벌써 심상치 않습니다. iRex 이거뜰이 일본어와 중국어 간체자는 되면서 한국어가 안 되는 글꼴을 넣어 놨다 이거지? 잊지 않겠다. -_-;;;
처음에는 그냥 한글 글꼴을 폴더에 하나 넣어봤는데 안 되더군요. 그래서 mshei.ttf를 한글 글꼴과 바꿔치기해버렸습니다. 완벽하게 하려고 한글 글꼴의 내부 글꼴 이름도 "MS Hei"로 바꿨습니다. 이렇게까지 해야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어쨌거나 성공했습니다.
위 캡처 화면은 일리아드에서 오마이뉴스 RSS 피드를 읽어온 것입니다. 정치와 무관한 기사를 일부러 골랐습니다. 마침 한자도 있고 하네요. 저작권 문제는 모릅니다. ㅡ,.ㅡ
글꼴 내부 이름을 어떻게 바꾸느냐. 구글에서 "ttfname"으로 검색해보세요. 저작권 문제가 어떤지 잘 몰라서 이곳에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글꼴 바꿔치기는 어떻게 하느냐. 일리아드에 ssh 접속해서 덮어씌우면 됩니다. ssh 데몬은 제 블로그 검색해보면 나옵니다.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는 분은 설치하지 마세요.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도 모르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닙니다. 잘못하면 일리아드가 벽돌이 되어서 네덜란드로 보내야 하는 수가 있습니다. 무섭죠? 덜덜덜... -_-;;
... 리눅스 잘 아시는 분이 설치 스크립트 하나 만들어주시길.
내친 김에 Mobipocket Viewer에 .txt 파일을 확장자 연결시켜봤습니다. 한글 안 되는군요. 리눅스 머신의 한글 locale을 복사해서 세팅 메뉴로 시스템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했는데도 마찬가지입니다.
Mobipocket Viewer가 내부적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하니 유니코드 한글 문서는 아마 될 겁니다. 텍스트 파일은 기본값으로 html 뷰어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걸로는 시험해보지 않았습니다. 이것도 아마 유니코드 문서만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텍스트 파일을 FBReader에 연결해 놨기 때문에 코드 페이지에 상관 없이 한글 텍스트 문서 잘 열립니다. FBReader가 좀 느리다는 게 불만일 뿐.
파일 확장자 연결은 어떻게 바꾸느냐. /mnt/settings/er_registry.txt 파일을 수정하면 되는데... 아시아 글꼴 하나 바꿔치기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엄청나게 위험한 작업입니다. 일리아드 벽돌 만들 각오가 되어있지 않은 사람은 이 파일 수정할 생각 하지 마셈.
6 comments:
좋네요..
정말 세계는 넓고 숨은 고수들도 다양함을 느낍니다. NUUT도 리눅스기반에 나노x를 개발툴로 쓰고 있으니, SDK를 공개하면 어떻게든 다양하게 만들어 주실 분들이 많을 거 같은데 말이죠. 그렇게 임베디드리눅스 쪽으로 조언해주실 분들을 찾고 있었는데, 쉽지않네요. 혹시 NUUT 어플리케이션에 관심 있으시면 연락주세요..^^ iyum@nuutbook.com
질문이 있읍니다..
/mnt/settings/er_registry.txt 파일을 수정할려고 합니다.
아래와 같이 수정해도, 한글이 안나오고 깨져 나옵니다.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
[MOBIPOCKET] 을 참고로 아래와 같이 추가했읍니다.
uaIDList=SHELL;BROWSER;IPDF;APABIMOBI;IMAGEVIEWER;SETUP;PROFILES;EBA;MOBIPOCKET;ARINC;SLIDESHOW
에 FBREADER를 추가한다.
[FBREADER]
category=viewer
arguments=<FILENAME>
exec=/media/card/Prgrams/FBReader/run.sh
// 또는 exec=/usr/local/bin/FBReader
xResourceName=FBReader
channel=16
extensions=txt;TXT
----
기본적으로 FBREADER를 실행시켜서 한글이 들어가 있는 파일을 선택을 하고, encoding을 선택을 해주면 한글이 제대로 나옵니다. 물론, 한글파일명은 파일 선택 창에서 보이지 않구요.
@탁이 - 2007/08/02 23:58
http://irexiliad.textcube.com/56
http://irexiliad.textcube.com/57
링크 참고하세요. Content Lister에서 텍스트 파일을 바로 읽어들이면 무조건 ISO-8859-1 코드로 읽습니다. 환경설정 아이콘 왼쪽에 있는 아이콘 클릭하면 바꿀 수 있고요, ISO-8859-1 문자셋 파일을 EUC-KRenc 파일로 바꿔치기하면 처음부터 한글 잘 읽습니다.
리눅스도 모릅니다. 오로지 일리아드를 잘 쓰고 싶습니다.
rss를 모비포켓을 통해서 이용할수 있는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데이몬 - 2007/08/22 22:54
한글 패치는 하셨나요?
http://irexiliad.textcube.com/82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