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7/20

iRex iLiad 한글 패치 0.0.3

패치 0.0.4를 발표하면서 이 게시물은 내용 삭제합니다.

19 comments:

탁이 said...

좋은 글들 감사드립니다.

혹시, Backup은 어떻게 하시나요?

tar backup.tar * ?

아니면, Ghost 같은 이미지 백업 툴로?

아니면, Upgrade 할때마다 자동 원위치?

아니면, Backup은 don't care?

오늘 새벽에 저도 하나 주문했습니다. ^^;

탁이 said...

위의 글이 수정이 안되네요. ㅠㅠ;

위에서 말하는 Backup이라는 것은 데이터 백업이 아닙니다.

프로그램을 깔거나, 설정등을 수정하다 보면, system backup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때, system 전체를 저장하는 backup을 말하는 것입니다. ^^;

김원철 said...

tar cvfz my.tar.gz --exclude=/mnt/cf --exclude=/media/cf /



이렇게 합니다. ^^;

탁이 said...

답변 감사합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봤는데, 다른 툴들은 라이브러리를 요구하고 있어서 안되는군요.

역시 tar나 dump로 하는 수 밖에 없군요. // dump도 없을수도 있겠군요.



질문이 하나 더 있답니다. ^^;

Upgrade 할때,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지우고, 새 시스템을 설치하나요? 아니면, upgrade되는 놈들만 지우나요?

물론, 새로 추가되는 놈들은 그냥 쓰겠지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김원철 said...

@탁이 - 2007/07/22 03:26
버튼 한 방으로 iRex Delivery Service에 접속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탁이 said...

안녕하세요.

금요일 iLiad를 받고, mrxvt, unbrickableinst, mshei, FBReader와 IPDF를 깔아서 사용하고 있읍니다.

디폴트 프로그램으로 two column 논문을 볼때 글자가 작지만, IPDF를 사용하거나 landscape을 사용하면 문제가 없군요.



주문한지 일주일만에 배송받았읍니다.

님 iLiad는 배터리 수명이 어느 정도 되는지요?

완충 상태에서 아무 작업을 하지 않으면, 몇 시간 정도 가는지요?

김원철 said...

@탁이 - 2007/07/29 20:49
기억이 정확하지 않지만 대략 11~12시간 정도 갔던 것 같습니다. 개조된 IPDF 쓰면 더 오래갈 거예요.



한글 글꼴은 PRS-500 동네 잘 돌아다녀 보면 더 보기 좋고 한자도 되는 글꼴을 구할 수 있어요. 저작권 문제가 걸려서 여기는 공개 글꼴만 넣은 거고요.

탁이 said...

답변 감사합니다.

탁이 said...

다른 질문하나 더 드리겠읍니다.



툴바에서 지우개 옆에 나타난다는 새페이지 아이콘이 안뜹니다.

혹시 다른데 있는거 싶어서 찾아봐도 없읍니다.

1. 현재 문서에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고 싶을때 어떻게 하나요?

2. 새문서를 만들수 있나요? // 기존 문서에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아닌



이전 디폴트 프로그램에서는 새페이지 아이콘이 있었는지 기억이 안납니다만,

현재는 풀 스크린 PDF인 IPDF를 사용하고 있읍니다.

김원철 said...

일리아드에서 PDF 파일 편집 안 됩니다.

새 페이지 추가 아이콘은 png 파일 볼 때 나오던 것이겠지요.

탁이 said...

아.. 그렇군요. png나 jpeg에서만 새페이지 추가가 가능하군요.

pdf, text나 html에서는 불가능하군요.



감사합니다.

PS : 항상 자세한 답변,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꾸벅.

탁이 said...

안녕하세요.



또 질문이 ㅠㅠ; 있읍니다.

트래블 허브를 연결하면, 윈도우즈에서 iLiad 메인 메모리만 보이는데

확장메모리(CF나 SD카드 등)을 볼 수는 없을까요?

저는 확장메모리에 pdf 파일을 저장해서 보는데, 새 pdf 파일을 올릴때마다 메모리를 빼고 꼽고 할려니 불편하군요.



아니면, ftp라도 없을까요?

linux에 ftp 클라이언트가 없던데......

김원철 said...

@탁이 - 2007/07/31 13:17
Unbrickable 팩을 깔았다면 SCP가 되기는 합니다. 잘 모르는 사람이 시스템 파일 건들까봐 안 알려주고 있었지만요. 속도는 안습입니다.

탁이 said...

방법을 하나 찾긴했읍니다.

wget이 있더군요. /usr/bin 밑에



평소에 쓰던거라 어려움이 없었읍니다.

한글명 파일도 보내보고 했는데, 속도도 괜찮고 좋던데요...



단 여러개를 보내지 못하더군요.

임베디드 wget라 그런것 같더군요. // 원래는 되는데.

게다가, 압축을 해서 보낸 것을 풀어 보니

tar, zip 등에서 압축된 한글 파일명을 풀지 못하더군요.

아마, 환경 설정에서 한글에 대한 encoding이 제대로 설정이 안되서 그렇겠지요.



아무튼, wget을 사용하기로 했답니다.



PS : scp를 사용하면, /usr/bin/dbconnect가 없다고 에러를 내고 실행이 되지 않읍니다.

탁이 said...

안녕하세요.

질문만 하는 사람입니다. ㅜㅜ;



FBReader를 txt확장자를 연결해서 잘 사용하고 있읍니다.

좋더군요..^^;



질문의 내용은 FBReader에서 파일 열기 다이얼로그나 라이브러리를 열때, 한글 파일명이 안보이는데, 혹시 해결책이 있으신지요?



PS : 시험삼아, 윈도우에서 FBReader를 사용해 보니, 한글 파일명을 완벽하게 지원하더군요.

김원철 said...

@탁이 - 2007/08/04 00:51
아, 그거 해결책이 하나 있기는 한데요, 코드를 직접 뜯어고치는 겁니다. 재주 있으시면 점...-_-;;;



Mobileread나 FBReader 구글 그룹에 버그 리포트를 해도 씹더군요. 지들 문제 아니라 이거죠. -_-^



아니면 content lister에서 확장자 연결하면 한글 파일명도 잘 되니까 사실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게 더 편하기도 하고요.

탁이 said...

리눅스에서 개발한적이 있어서 관심은 있지만, 본업에 충실해야 하니깐, 스킵해야겠네요. ^^;



지금은 txt확장자를 연결해서 그냥 쓰고 있읍니다.



PS : 답변 감사합니다.

꾸벅.

무한불승 said...

한글패치 받아서 일리아드에서 "한"을 인스톨 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모비포켓에서 오마이뉴스 rss가 한글로 안보이네요.

제가 뭘 빼뜨린건가요?

너무 초보적인 질문이라 항상 죄송한 마음 뿐임다.

바그네리안 said...

@무한불승 - 2007/08/06 20:32
그거 이상하네요. 이전 패치 버전의 한글 글꼴을 지우고 0.0.3만 설치한 상태에서도 한글 파일/폴더 이름이 보이나요? 안 보이면 설치가 안 된 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