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리눅스 잘 몰라서 정확한 내용인지 책임 못집니다. 고장나면 네덜란드로 보내야 하니 각오하고 시도하세요. 무섭죠? 덜덜덜...-_-;;;;
http://irexiliad.textcube.com/33
요 게시물에 간단하게 나와있습니다만... 아는 사람만 알아먹게 써놨죠.
좀더 설명하자면, 일단 리눅스 스크립트(.sh)를 실행시킬 수 있게 패치해야 합니다. iRex 홈페이지에 로그인해서 신청해야 되는데... 자세한 방법은 기억이 안 납니다. 알아서 찾아보셈. ㅡ_ㅡ;;
패치가 끝나면 아래 파일을 받습니다.
http://irexiliad.textcube.com/attachment/1353585157.zip
압축을 푼 다음 일리아드에서 run.sh 파일을 실행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리눅스 터미널이 뜹니다:
http://irexiliad.textcube.com/22
(나중에 붙임: 걍 SSH 접속하면 더 편합니다.)
아참, 그 전에 한글 트루타입 글꼴(.ttf)을 같이 복사합니다.
터미널에서 ls, cd, pwd 등의 명령어를 활용해서 글꼴이 있는 경로를 정확히 확인해둡니다.
이제 symbolic link라는 것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그게 뭔지는 저도 잘 모릅니다. -_-a
하여간 그거 만들려면 이렇게 한다는군요:
ln -s source target
source는 글꼴이 있는 경로를 적어주면 되고, target은 /usr/share/fonts/truetype/ 이겁니다. 반대던가... 아님 말고... ㅡ,.ㅡ
그 다음에는...
3. 'fc-cache in /usr/share/fonts/truetype/' 엔터
4. 글꼴 여러 개 설치할 때 /etc/fonts/fonts.conf 또는 local.conf 파일을 수정해서 글꼴 띄우는 우선순위를 고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부팅합니다. 끝.
5 comments: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는데 적당한 곳이 없어서
그냥 이곳에 질문을 드립니다.
제가 주로 jpeg파일을 보는데요. 만화나 그밖의 잡지같은것도
jpeg로 봅니다.
prs의 경우 거의 좌절수준이라던데요.
(만화책 한두권 메모리로드하는데 거의 몇 시간이라죠.. -_-;;)
일리아드의 경우는 어떤지요..?
로드속도와 폴더단위로 따로 읽어드릴 수 있는지 궁금해서요.
@toyro - 2007/03/06 00:53
그림 파일을 바로 열어본 적은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PDF 파일보다 여러모로 불편할 겁니다. 만화 같은 건 PDFPro 같은 무료 프로그램으로 PDF 변환해서 보시면 좋습니다. 저는 만화는 안 보지만 악보 그림 파일을 PDF 파일로 바꿔서 보기도 하는데요, 모바일 기기 치고는 상당히 가볍게 돌아갑니다.
하나만 더 물어보겠습니다.
어떤분은 jpeg같은 만화는 화면이 생각보다 좋지 못하다는데요.
이게 e-ink자체의 문제인지, 아니면 prs자체의 문제인지 모르겠네요.
한마디로 일리아드에서는 만화이미지가 깨끗하고 볼만하게 나오는지요?
@toyro - 2007/03/06 20:51
PRS와 비교해본 적은 없지만 디스플레이 크기와 해상도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아닐까 짐작합니다. 데스크탑에서도 해상도가 큰 이미지를 작게 줄이면 왜곡이 일어나죠? 일리아드나 PRS 등은 하드웨어 사양도 딸리는데다 소프트웨어도 최적화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말해 전자잉크의 느린 화면 전환 속도를 보상하기 위해 얼렁뚱땅 처리하기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이건 애초에 데스크탑에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클리앙에 보면 리브리에로 만화를 보는 사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 깨끗한 화면이고요. 일리아드는 리브리에보다 나으면 나았지 못하지는 않을 겁니다.
매번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Post a Comment